한전(KEPCO)의 전기차 충전 설비 가이드라인은 충전 인프라의 안전성, 효율성, 계통 연계성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아래에서 주요 항목을 정리해드릴게요.
⚡ 1. 전력 공급 및 요금 기준
-
가정이나 상업용 충전 인프라 설치 시
-
주택용 누진제 회피를 위해 일반용 전력(계약 전력 499 kW 이하)으로 공급
-
신규 변압기 설치비는 고객 부담, 한전은 변압기 설치 후 요금 적용 (home.kepco.co.kr)
-
-
충전 전 전력 계약 없이 사용 시 과부하로 차단기 동작, 화재 위험 우려 (home.kepco.co.kr)
2. 충전 인프라 구축 현황 및 로드맵 🗺️
-
2023년 기준:
-
한전은 공용 급속충전기 3,353기, 아파트용 6,667기, 전용 800기 등 총 10,820기 운영 중 (home.kepco.co.kr)
-
2030년까지 공용 급속충전기 6,000기 구축 목표 (home.kepco.co.kr)
-
-
2016년부터 “KEPCO PLUG” 브랜드 운영 및 충전사업자 로밍 서비스(ChargeLink) 제공 시작 (home.kepco.co.kr)
3. 충전소 설치 ‑ 유지‑보수 지침
-
충전인프라 위탁업무 처리 기준을 마련하여, 충전 설비 유지보수 업체 선정 기준 설정 (home.kepco.co.kr)
-
2020년부터 아파트 지하주차장, 공용 주차장 등에 고정형 급·완속 충전기 설치 (home.kepco.co.kr)
4. V2G/VGI 및 유연성 자원화 전략
-
VGI(Vehicle-Grid Integration) 기술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
-
V1G(스마트 충전), V2G(양방향 충방전) 기술 시험 중 (home.kepco.co.kr)
-
2023년 제주 AC V2G 시범 운행 사례 보고 (ieee-pes.org)
-
-
EV를 ESS처럼 활용해 전력 계통 안정화와 피크 수요 대응에 기여 (home.kepco.co.kr)
5. 충전 요금 정책 및 사용자 편의
-
2017년 유료 전환 → 도심·아파트 충전기 kWh 당 83.6원~174.3원 요금 책정 (home.kepco.co.kr)
-
신용카드 현장결제, ChargeLink 로밍, 카카오 내비 연동 등 서비스 강화 (home.kepco.co.kr)
-
실시간 충전소 운영 현황은 evc.kepco.co.kr 및 앱에서 확인 가능 (home.kepco.co.kr)
6. 설치 안전 및 설비 지침
-
저압 신규 공사 방식으로 충전 설비 설치 가능하며, 변압기 적용 기준 명확화 (home.kepco.co.kr)
-
지하주차장 등 설치 위치 안전성, 전기설비 보호 기준을 사규(업무처리 기준)에 포함 (home.kepco.co.kr)
📝 요약 정리
항목 | 주요 내용 |
---|---|
전력 공급 방식 | 계약전력 499 kW 이하 일반용 전력, 누진제 회피 |
충전 인프라 현황 | 2023년 10,820기 보유, 2030년 급속 6,000기 목표 |
유지보수 기준 | 사규를 통한 위탁업무 기준 마련 |
요금 정책 | kWh 당 83.6–174.3원, 현장결제 및 로밍 지원 |
V2G 전략 | V1G/V2G 기술 개발·시범 운영 중 |
설치 안전 | 지하주차장 규정, 전기설비 기준 포함 |